본문 바로가기

가족일상

매생이8. 프로필(Profile)-부제:뇌섹남

BS: 프로필, 프로파일, 프로파일러, 신상, 단편적인 것들로 전체를 구상하기, 나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것들, 바디프로필, 유행, body profile, 나의 몸을 사진과 영상으로 나타내는 것, 수영복, 전신촬영, 근육질, 바디빌딩, 뇌프로필, 뇌섹남, 뇌섹녀, 이름, 성별, 나이, 직업, 학력, 가족사항, 경력, 취미, 특기, 자격증, 언어능력, 학교성적, 저술활동, 논문, 책, 참여한 프로젝트 등 내가 남긴 많은 흔적들,

프로필은 나를 모르는 상대에게 나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나는 대학원 갈 때, 취업을 위한 이력서에 많이 기술하였고, 파트너사에 파견갈 때 썼지만, 그 외에는 거의 써본 일이 없다.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고민해 보았지만, 현재 그렇게 열심히 하고 있지 않아서 특별히 기억에 남는 것이 없다. 내가 이직을 한다면, 다시 한 번 고민해 보지 않을까?

디지털노마드를 추구하며 N잡러의 길로 들어선다면 프로필이 나의 전부일 수 있겠다. 이미 유명인이라는 것은 많은 사람이 그애 대해 알고 있겠지만, 이제 알려져야만 하는 사람들에게는 프로필을 잘 정리해 놓는 것이 좋겠다.


개인 정보는 비공개로 남겨 놓고, 나의 뇌에 대한 프로필을 탐구해 보겠다.


내 뇌의 무게 (추정치) : 내 몸무게 72kg의 1/7 ≒ 10kg

내 뇌의 둘래 (추정치) : 내 모자 사이즈 61cm의 ¾ ≒ 45cm

내 뇌의 높이 (추정치) : 내 머리 높이 20cm의 ⅔ ≒ 7cm

내 뇌의 부피 (추정치) : 원둘레 = 2πr = 2*3.14*r = 45cm

                              ∴ r≒7cm

                              뇌의 형태를 반구 형태라고 가정하면 반지름과 높이가 얼추 맞다.

                              구의 부피 = ⁴/₃πr³ = ⁴/₃*3.14*343 ≒ 1436 cm³ 

                              ∴ 반구 모양의 뇌의 부피 = 1436 / 2  718 cm³

                              뇌의 부피를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약 10cm 정육면체의 부피 정도이다.

내 뇌의 밀도 (추정치) : 밀도 = 질량/부피 = 10kg / 718cm³ ≒ 10,000g / 1000cm³ ≒ 10g/cm³ (SI단위)


아주 대충대충 얼버무려 계산했는데, 생각보다 작은 부피에 무겁고 밀도가 높아서 놀랍다.

대충 10 kg의 쇳덩이 아령 정도 될 것 같다. (이거 뭔가 분위기 이상한데...;;)

아무튼 인간의 머리가 무거워서 자유낙하시에 머리부터 떨어진다고 들었다.

그래서 인간은 머리를 많이 써서 뇌가 발달했으므로, 머리의 무게의 큰 부분이 뇌가 차지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틀리면 말고 라는 생각으로 위안을 삼으며 막 계산;


사후평가 : 내가 뇌의 무게를 너무 크게 잡았나보다. 인간 몸의 약 70%가 물이라고 보면 물의 밀도보다 조금 커야할 것 같은데...

생각해봐. 물에 넣으면 가라 앉지 않을까? (느낌적인 느낌을 동원해봐)

물의 밀도는 1,000kg/m³ = 1g/cm³ 이다. 이게 대략 1000g/10cm³ ≒ 1kg/1L = 1kg/L 정도인가 보다. 

그럼 대략 내 뇌의 밀도는 7kg/L 정도 되려나? 말도 안되게 큰 값이 나온 계산이다.

 

밀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물리학의 개념에 관한 것입니다. 미분기하학의 개념에 대해서는 밀도 다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밀도 (密度, Density, 기호 - 그리스어: ρ)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다. 부

ko.wikipedia.org

내 뇌의 밀도를 계산한 결과가 물의 밀도 보다 10배 크다.

내 계산의 오류는 분자를 10배 정도 크게 잡았던가, 분모를 10배 작게했던가, (분자/분모)가 10배 크게 잡았던가 했을 것이다.


뇌의 구성성분으로는 물 77~78%, 지질 10~12%, 단백질 8%, 수용성 유기물질 2%, 탄수화물 1%, 무기염류 1%가 있다. 또한 성인 뇌의 무게는 평균적으로 1400g 정도로써, 체중 약 50분 1을 차지한다.


인간의 뇌를 대략 1.5kg 정도 된다고 했을 때, 내 계산은 뇌 무게를 약 6~7배 크게 잡았나 보다.

그리고 부피는 좀 작게 잡은 것 같다.

이것을 감안해서 수정하면, 인간 뇌는 물의 밀도와 대략 같아진다.

단백질과 무기질이 물보다 조금 무거운 느낌적인 느낌 아니까~


사실 인간의 뇌의 구성성분이 100% 물이 아니므로 같아지게 비교하는 것도 말이 안된다.

말 그대로 그냥 생각의 흐름대로 따라가 본 것일 뿐.

사람마다 체중이 다르고, 체중과 뇌의 무게가 비례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오차가 생길 수 있는 구멍들이 여기저기 있다.

사람을 비롯한 여러 동물들의 뇌. /사진=S Herculano-Houzel (2012) The remarkable, yet not extraordinary, human brain as a scaled-up primate brain and its associated cost. PNAS 109:10661?10668

 

인간의 뇌와 다른 동물의 뇌는 어떻게 다를까?

[송민령의 뇌과학 에세이-5] 연예인들의 손바닥만 한 얼굴을 부러워하는 사람은 많지만 뇌까지 작기를 바라는 사람은 없다. `뇌가 섹시하다`는 표현까지 등장할 만큼 사람들은 지능에 관심이 많

www.mk.co.kr


정작 연구 대상이 되는 것은 뇌세포의 밀도이다.

아래 연구에서는 나이가 들어도 뇌 세포의 밀도는 줄 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뇌 세포의 수는 줄어든다. 동시에 뇌의 부피도 수축된다. 따라서 뇌 세포의 밀도는 유지한다. 뇌 세포의 밀도가 유지됨으로써 나이가 들어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을 것이고, 그렇더라도 뇌 세포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감퇴할 수 밖에 없는 능력이 있을 것이다.

 

나이와 뇌 세포 밀도의 관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뇌의 크기가 축소되면서 세포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시카고 일리노이 대학...

www.ibric.org


오늘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