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大統領, president)은 대통령제 국가의 국가원수이다.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은 국가원수 및 행정부 수반으로서 이중적 지위를 가지며 정치적 실권이 있는 반면,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의 상징적 권한만 가진 존재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 베트남은 국가주석이고 중화민국에서는 총통(總統)이란 명칭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영문으로 번역할 때는 똑같이 president로 번역된다.
미국의 헌법의 모태가 된 1787년의 필라델피아 헌법회의의 구성원들이 영국 헌정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발전시킨 정부 형태 자유민주주의에 뿌리를 두고 샤를 루이 드 세콩다 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 사상을 충실히 수용하여 탄생하였다.
어원 탐구
미국에서 대통령제가 생기기 전 president는 원래 1774년 대륙회의의 의장(President of the Continental Congress)을 부르던 말이었는데, 이는 권한이 많지 않은 명예직이었다. 이후 1787년 헌법을 만들면서 합중국의 수장을 president로 부르게 되었다.
동양에서 '대통령'이라는 용어는 '통령(統領)'으로부터 비롯된 말이다.[1] 청나라 후기에 '통령'은 오늘날 여단장급의 무관 벼슬 명칭인 근위영 장관(近衛營 長官)을 이르는 말이었다.[1] 또 고대 한나라 시대에 북방 흉노 군대의 장군을 '통령'으로 지칭하는 등 소수 민족 군대의 장군을 비공식적인 표현으로 '통령'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었다.[1]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에 조운선 10척을 거느리는 벼슬을 '통령'이라 불렀다.[1] 일본에서는 '통령'이라는 말이 고대부터 쓰였는데, '사무라이를 통솔하는 우두머리'라는 군사적 용어였으며, 군사적 수장이나 씨족의 족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매우 흔하게 쓰였다.[1]
근대 일본에서는 고대 로마의 집정관이나 베네치아 공화국의 원수, 프랑스 제1공화국의 집정관 등 다른 나라의 직위를 설명하는 번역어로 '통령'을 이용하였다.[1] 일본은 'president'를 번역하면서 자신들에게 익숙했던 '통령'이라는 용어에 "큰 대(大)" 자를 덧붙여서 '대통령'이라는 말을 만든 것이다.[1][2] 그리하여 최소한 1860년대 초부터 일본에서는 이미 '대통령'이라는 용어가 출현하기 시작하고 있다.[1]『일본국어대사전』에는 1852년에 출간된『막부 외국관계 문서지일(文書之一)』에서 '대통령'이란 낱말이 처음 나왔다고 기록하고 있다.[1]
한편 중국에서는 'president'의 번역어로 1817년 '두인(頭人)'이라는 비칭(卑稱)의 성격을 띤 호칭을 사용한 이래, '총리(總理)', '국주(國主)', '추(酋)', '수사(首事), '추장(酋長)', '방장(邦長)', '백리새천덕[3]' 등의 용어를 쓴 바 있다.[1] '통령'이라는 번역어가 쓰인 것은 엘라이자 콜먼 브리지먼(영어판)의 《미리가합성국지략(중국어판)》(1838)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 '대통령'이라는 용어도 1875년 경 출현한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1870년에 이르러 '총통'이라는 용어를 널리 쓰면서 ‘통령’·‘대통령’이라는 용어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1] 현재 중화민국에서는 'president'를 '총통(總統)'으로 번역하고, 국부천대 후에도 자국 국가 원수의 직함으로 '총통(總統)'을 계속 쓰고 있다.[1]
한국의 기록에서 '대통령'이라는 용어는 조사 시찰단으로 일본에 다녀온 이헌영이 1881년 펴낸「일사집략(日槎集略)」이라는 수신사 기록에서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다.[1] 이 글에서 일본 신문이 "미국 대통령"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1] 그 뒤 1884년『승정원일기』에서도 고종이 미국의 국가 원수를 '대통령'이라고 호칭했다는 기록이 보인다.[1]
한국에서 '대통령'이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된 계기는 바로 상해 임시정부가 최고 통수권자로서 '대통령'이라는 용어를 선택하여 사용했기 때문이다.[1] 당시에 차용되었던 이 용어가 현재 대한민국에서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1]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
2022년3월9일은 대통령 선거였다. 선거 전에 감정을 기억해 보면 후보자와 후보자가 속한 집단의 추구하는 바를 분석하였지만 원하는 후보는 단일화 하여 다른 당으로 흡수되었다. 마음에 안들기도 하지만 내가 믿는 후보가 선택하고 지지하는 일이라 나또한 새로운 당을 지지하였다. 결과 0.73%p의 차이로 당선되었다. 국민의 절반은 다른 쪽을 찍었다는 말이니 당선자와 그 당도 임기내내 신경쓰고 잘 하길 바란다.
'가족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생이7. 전쟁 (부제: 목적과 수단) (0) | 2022.03.19 |
---|---|
매생이6. 봄 (0) | 2022.03.19 |
매생이4. 정리 (0) | 2022.02.27 |
매생이3. 버스 (0) | 2022.02.19 |
자신감 있는 자녀 교육 (자녀가 이기게 해주고, 칭찬해 줘라) (0) | 2022.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