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KEPIC END 2000
[의견] Seismic Category 분류에 대한 정의 및 내진검증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한 설계를 Cabinet 설계 시에 반영하여야 한다.
-Seismic Category I: SSE를 견디고 구조적 무결성과 기능이 유지되어야 하는 안전관련설비
-Seismic Category II: SSE를 견디고 구조적 무결성이 확인되어야 하는 비안전관련설비 (기능을 수행할 필요 없음)
-Seismic Category III: Non-seismic
-장착된 장비와 고정물의 고유진동수는 33Hz를 넘지 않아야 함
-검증방법은 Analysis and/or Type Test
-단, Test설비는 본품으로 설치되어서는 안됨
-Response Spectrumis a plot of the Maximum Response (as a function of oscillator frequency) of an array of Single DOF damped oscillators
-OBE:지역/지질/지진학 및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발전소 운영기간중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진으로 5회의 OBE에도 기능/성능을 유지하여야 함
(OBE) is typically 1/2~3/2 of (SSE)
-SSE:지역/지질/지진학 및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최대 잠재력에 의한 지진,원자로를 차단하고 안전한 셧다운 조건에서 원자로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
-RRS: RRS는 FRS+10%와 동등하거나 충분히 포락하여야 함
-TRS(Test Response Spectrum)
: TRS는 OBE시험의 2%에서 해석되며, SSE시험의 5%에서 해석됨
-ZPA(Zero Period Acceleration):바닥가속도,주기가 0이면 주파수는 Infinity가 됨.기기의 가장 낮은 공진주파수가 RRS의 차단주파수보다 큰 경우 Rigid로 간주됨 (33Hz보다 크면 Rigid Body로 간주)
=> HCLPF > 1.67*SSE
-지진가속도-규모 환산
.진원:지진발생지점
.진앙:진원의 바로 위 지표면
.진도: (Seismic Intensity)어떤 한 지점에서 사람이 느낀 정도 (진앙으로부터 거리에 차이가 남)
.규모: (Magnitude)진원에서 방출된 지진에너지의 양
.지진가속도:
0.2g=>규모 6.5
0.3g=>규모 7
0.4g=>규모 7.2
MMI=3*Log10(980*g)+1.5
M=1+2/3*MMI
Log10E=11.8+1.5*M
E=10(11.8+1.5*M)
ð 규모 1증가시 Energy는 약 32배 증가
우리나라 관측 최대치 6.5~7.2 (추측)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회 산업계측제어기술사 실제 면접후기 (0) | 2023.08.12 |
---|---|
[PE D-100] 시차적응, Overcome Jet Lag (0) | 2022.07.22 |
FMEA (Failure Mode & Effect Analysis) (0) | 2022.05.24 |
Underwriters' Laboratories (0) | 2022.05.24 |
초전도체 컴퓨팅 시대 = 양자 컴퓨팅 시대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