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기술

(23)
근거리정보통신망(Local Area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별 특징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41 [Network] LAN(근거리 통신망)이란 무엇인가? LAN이란 무엇인가? LAN(근거리 통신망)은 광대역 통신망과는 달리 학교, 회사, 연구소 등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coding-factory.tistory.com LAN의 구축형태 1. Bus Topology (버스형) 신뢰성과 확장성이 좋으며 모든 노드 들이 버스에 T 자형으로 연결 되어 상호 Point - to - Poing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각 노드들의 연결은 어뎁터(Adapter)를 사용하며 양 끝 단에 Terminator를 두게 됩니다. 각 노드의 고장은 전체 네트워크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이산시간 제어시스템과 디지털 제어시스템을 구성요소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 연속형 ㅇ 연속시간 시스템 (Continuous-time System) - 시스템의 입출력이 모두 연속적인 시간에서 표현되는 연속시간 시스템 . y(t) = T [ x(t) ] - (시간 만 연속적이면, 진폭이 이산적이라도 무관) ㅇ 아날로그 시스템 (Analog System) - 입출력 시간 및 진폭이 모두 연속인 시스템 2. 이산형 ㅇ 이산시간 시스템 (Discrete-time System) - 입출력 신호가 모두 일정 시점(이산적인 시간)에서 만 정의되는 이산시간 시스템 . 이산 시점에서 입력신호 x[n]을 출력신호 y[n]으로 변환(연산)하는 시스템(함수) .. y[n] = T [ x[n] ] - (시간 만 이산적이면, 진폭이 연속적이라도 무관) ※ [참고용어] . 이산 신호,이산 연산,이산..
단위 계단(Unit Step) 입력과 단위 경사(Unit Ramp) 입력을 S-영역에서 표현하시오 단위계단함수: u(t)=1, L{u(t)}=1/s 단위경사함수: tu(t), L{tu(t)}=1/s^2 단위충격함수: d(t), L{d(t)}=1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wi1125&logNo=221188700924
[환경과 에너지] 비과학적으로 편향된 결정이 가져올 미래 https://www.chosun.com/national/transport-environment/2021/12/06/EQBWCNXJ6JEMFDJRO37YMO27GA/ 그린피스 창립자 “한국 탈원전은 폰지 사기극” 그린피스 창립자 한국 탈원전은 폰지 사기극 패트릭 무어 박사 쓴소리 친환경 구실로 국민에게 값비싼 재생에너지 청구 좌파 정부와 시민단체, 환경을 정치 도구화 www.chosun.com 태양광이나 풍력만으로 에너지 전환을 할 수 있다고 세뇌하고, 친환경이라는 구실로 국민에게 값비싼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라고 하는 것은 주식시장으로 치면 ‘폰지 사기’*와 같다.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필요하지만 원전 없이 재생에너지로만 대체한다는 건 심각한 망상이다. 왜냐하면 원전이나 화석연료 같은 기저(基底)..
[KAIST 김용희 교수] 부하추종운전과 SMR Abstract Load Follow Operation. 부하란 발전소로부터 인출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부하추종운전(負荷追從運轉)은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발전량을 조정하는 운전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원전 운영국에서는 원자력에 의한 발전은 언제나 기저부하(base-load)를 맡고 있기 때문에 발전량의 조절은 LNG 가스 화력 등 원자력 이외의 전력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원자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70 %를 넘고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부하추종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 저 탄소 에너지 믹스 사회 즉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저탄소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국가의 경우, 원전의 부하추종운전을 통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백업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때의 부하추종운전은 계절과 주야간의 ..
[KAIST 정용훈 교수] 원자력과 수소산업 내가 듣는 카이스트 교수님의 두번째 특강이다. 그동안 현대자동차와 미국의 니콜라 모터스를 통해서 조금은 익숙히 보아왔던 수소자동차에 대해 풀리지 않던 실타래를 풀 수 있기를 기대하며 설레는 마음으로 강의를 듣게되었다. 강의실로 이동하며 10분 정도 회사 후배와 걸으며 수소에 대해 아는 얘기를 나누었다. 수소는 물에서 전기분해로 만들어 내고, 수소를 다시 물로 만들어 내며 에너지를 얻어 전기자동차의 모터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여기 까지 내가 아는 것이고 원자력을 이용해 어떻게 수소를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는 없었다. 강의는 먼저 장작을 태우는 것보다 석탄을 태우는 것이 친환경이라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에너지밀도가 높은 화석 연료를 쓰는 것이 훨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다는 ..
[KAIST 김대식 교수] 인공지능과 기후변화, 그리고 메타버스 대항해시대 내가 다니는 회사에서 매해 여름즈음 카이스트 교수들을 초빙해 원자력 전공 과목에 대한 강좌를 개설해왔다. 올해는 조금 분위기가 다르게 1회성 특강 세미나 처럼 개설되었다. 전자전기공학부의 김대식 교수가 우리 시대 최대의 트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원자력 업계에 적용시켜 들려주려는 것처럼 보여 굉장히 흥미로워 참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