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runch.co.kr/@skbark/123
[두 번째 이야기] 계장 설계
[30] Instrument & Control Engineering | 계장설계는 계측(計測, Measurement)과 제어(制御, Control)를 의미하는데, 쉽게 말해서, 플랜트를 흐르는 각종 유체의 온도, 압력, 유량 등을 측정하고, 설계 기준에 맞도
brunch.co.kr
https://bitbong.tistory.com/391
계장 이란?
계장(計裝)이란 단어의 어원 : 영어의 INSRUMENTATION을 각 나라별로 적당하게 번역 또는 조합된 단어이다. 한국/일본 : 計 裝 중 국 : 以 表 독 일 : BMSR 신조어 (계측과 제어) 계장이란? 생산공정에
bitbong.tistory.com
계장은 instrumentation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계측, 감시, 제어, 보호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계측제어를 통틀어서 I&C (Intstrumentation and Control)라고도 많이 일컬으며, plant를 보호하기 위한 신뢰성이 높은 독립된 계통을 별도로 구성하여 사고상황에서는 passive(피동적)하게 안전한 방향으로 동작하게도 한다.
계장설계는 상기의 계측, 감시, 제어, 보호의 목적하에 process(공정)의 상태를 감지하는 sensor부터 운전원에게 인지시키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동작(운전원 수동 동작) 또는 운전원에게 알려주지만 개입이 필요없는 자동운전하도록 스스로 작동시키는 것 까지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대부분 물리적인 현상을 전자 신호의 형태로 전달하고 연산 및 처리된다. 이와 관련한 계통의 구성 및 각 부붐단위의 기술규격 등을 설계하여, 문서 및 도면의 형태로 개념설계, 상세설계, 기기설계 등의 흐름으로 이루어 지고, 완성된 기기는 각종 시험을 거쳐 현장에 납품된다.
계장공사는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케이블 종류 (0) | 2022.01.12 |
---|---|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의 개념과 장점 (0) | 2022.01.12 |
복소근을 갖는 2차 표준형 시스템의 극점 위치와 과도 응답 특성간의 관계 (0) | 2022.01.09 |
근거리정보통신망(Local Area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별 특징 (1) | 2022.01.07 |
이산시간 제어시스템과 디지털 제어시스템을 구성요소 관점에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0) | 2022.01.04 |